「클로젯 (The Closet, 2020)」은 김광빈 감독이 연출하고, 하정우, 김남길이 주연을 맡은 한국형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다. 이 작품은 ‘귀신’이나 ‘빙의’라는 전형적인 공포 요소에 가족의 붕괴, 아이의 실종, 슬픔의 회피라는 드라마적 요소를 결합하며, 공포의 실체를 단순한 괴물이 아닌 사회적 외면과 정서적 단절로 해석한다. “벽장”이라는 공간을 통해 무의식의 어둠을 상징하고, 사라진 아이들을 통해 세상이 듣지 않은 목소리를 상징하는 영화는 공포를 넘어 누군가를 돌보지 못했던 인간의 죄의식에 접근한다. 『클로젯』은 당신이 외면했던 이들이 그 어둠 안에 아직도 남아 있다는 사실을 차갑게 되묻는 작품이다.
줄거리
사라진 딸, 벽장 너머에서 들리는 소리
건축가 ‘상원(하정우)’은 아내를 잃은 사고 이후 딸 이나(허율)과의 관계가 급속히 멀어졌다. 감정 표현에 서툰 그는 딸의 슬픔과 외로움을 제대로 마주하지 못한 채 일에 몰두하거나, 침묵으로 시간을 흘려보낸다. 어느 날, 상원은 도심을 떠나 한적한 시골 외딴집으로 이사를 결심한다. 새로운 환경이 딸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사 후 이나는 점점 이상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혼잣말, 낯선 존재와의 대화, 갑작스러운 감정 기복 등 설명할 수 없는 변화가 이어지고, 급기야 이나는 상원 앞에서 sp없이 사라져버린다. 그녀의 흔적은 오직 방 안의 벽장(클로젯)에 남아 있다. 경찰도, 주변 사람들도 ‘가출’이라고 말하지만, 상원은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의 개입을 직감한다. 그 순간, 한 남자 ‘경훈(김남길)’이 등장한다. 그는 자칭 ‘퇴마사’이자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상대하는 사람이다. 경훈은 상원에게 이나의 실종이 단순한 유괴나 사고가 아니며, 오랫동안 이어져온 원혼들의 소환이라고 말한다. 결국 상원은 경훈의 도움을 받아 클로젯 속 세계에 들어가게 되고, 그 안에서 그동안 잊혀졌던 수많은 아이들의 울음소리를 듣게 된다. 그곳은 단순한 ‘귀신의 세계’가 아니다. 그곳은 돌봄 받지 못하고, 세상에 버려진 아이들의 기억이 응축된 공간이었다. 이나를 구하기 위해 상원은 그 어둠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특징
1) ‘클로젯’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영화의 핵심 오브제는 제목 그대로 벽장, 즉 클로젯이다. 이 공간은 물리적으로는 아이의 방에 붙어 있는 작은 수납공간이지만, 영화에서는 트라우마, 상실, 억눌린 감정의 메타포로 사용된다. 벽장 안에는 잊히고 버려진 존재들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다시 불려나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 장치는 공포의 공간을 시각화한 동시에, 인간의 무의식에 대한 상징이 된다. 특히 벽장 안 세계로의 진입은 현실과 무의식, 과거와 현재가 뒤엉키는 통로이자 속죄와 마주침의 출입구다.
2) 공포와 가족 드라마의 결합
『클로젯』은 전형적인 귀신 영화의 구조를 따르지 않는다. 공포의 대상은 귀신이지만, 그 공포의 근원은 감정의 단절, 돌봄의 부재, 죽은 아이들의 분노다. 즉, 진짜 공포는 눈에 보이는 존재가 아니라, 그 존재를 만들게 된 인간의 무책임이다. 하정우가 연기한 상원은 초반에는 무심한 아버지처럼 보이지만, 딸의 실종과 마주한 이후 점차 자신의 감정을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감정의 변화가 단순한 귀신 퇴치극을 성장의 서사로 전환시킨다.
3) 김남길의 존재와 퇴마 장르의 현대화
김남길이 연기한 ‘경훈’은 전형적인 무속인이 아니다. 그는 과거의 퇴마사 설정에서 현대적인 해석을 더한 인물로, 단순한 ‘영적 해결사’가 아니라 어둠 속 고통을 감지하는 감정적 촉수 같은 존재다. 그의 등장으로 영화는 오컬트 장르의 분위기를 강화하며, 영적 세계와 현실 세계의 교차점을 형성한다. 하지만 그는 끝내 상원의 감정 회복을 유도할 뿐, 직접적인 구원자가 되지는 않는다. 이 점에서 『클로젯』은 구원은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의 용기에서 비롯된다는 메시지를 강화한다.
4) 실종아동이라는 사회적 메시지
이 영화는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더 사회적인 메시지를 드러낸다. ‘클로젯’ 안에 갇힌 아이들은 단지 귀신이 아니다. 그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했지만 세상에 의해 외면당한 아이들이다. 그 메시지는 관객에게 묻는다. “그 아이들은 왜 죽었는가?” “누가 그들을 외면했는가?” 이 질문은 단지 영화 속 상원에게만이 아니라, 관객 자신에게도 향하는 부메랑이 된다.
후기
『클로젯』은 공포영화로서의 기대감과 함께 개봉했지만, 단순한 오컬트 영화에 그치지 않는 복합적인 감정선으로 많은 호평을 받았다. 하정우는 심리적으로 무너진 아버지를 과장 없이 절제된 감정으로 표현했고, 김남길은 영적 존재를 다루면서도 냉소와 연민이 공존하는 얼굴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공포의 설정을 통해 우리가 외면했던 고통, 들리지 않는 목소리, 보지 않으려 했던 진실을 떠올리게 만든다. 딸을 구하기 위한 아버지의 여정은 단순한 구출 미션이 아니라, 자신의 죄책감과의 화해이며, 감정의 미로에서 길을 찾는 시간이다. 또한 영화는 소외된 존재들이 ‘귀신’이라는 형상으로 남는 것이 그들의 잘못이 아니라 그들을 방치한 사람들의 책임임을 명확히 한다. 결국, 『클로젯』은 공포의 외피를 쓴 감정적 사과의 영화다. 이해받지 못했던 아이들의 원혼이 스스로를 증명할 때까지 우리의 죄책감은 끝나지 않는다.
결론
「클로젯」은 한국형 공포 영화의 한계를 뛰어넘어 정서, 메시지, 장르미를 모두 잡은 작품이다. 귀신보다 더 무서운 것은 사랑을 주지 않은 사람, 듣지 않은 사람, 돌아보지 않은 사람이다. 이 영화는 우리 안의 벽장 어딘가에도 아직도 닫혀 있는 감정이 있지는 않은지 조용히 묻는다. 『클로젯』은 공포 영화이지만, 그 울림은 공포를 넘는다. 그것은 상실과 마주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속죄극이며, 기억되지 않은 존재들에 대한 애도의 방식이다. 결국, 벽장은 열려야 한다. 그 안에 갇힌 존재는 다시 빛을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순간 우리는 비로소 용서받을 자격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