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도시 (The Outlaws, 2017)」는 대한민국 형사물의 전통에 폭발적인 현실감, 로우톤 유머, 본능적 정의감을 결합해 새로운 장을 연 작품이다. 윤계상, 마동석이라는 상반된 에너지를 가진 두 배우의 대립은 단순한 액션 이상의 긴장과 쾌감을 선사하며, 실제 2004년 ‘왕건이파-흑사파’ 사건을 모티브로 한 배경은 이 영화에 기시감 있는 현실성을 불어넣는다. 『범죄도시』는 범죄와 정의, 폭력과 질서의 경계를 이야기하면서도 누가 더 큰 소리로 이기는가가 중요한 세계를 그린다. 그 세계 한복판에서 ‘진짜 강함’이란 무엇인지 마석도라는 이름으로 답을 내놓는다.
줄거리
폭력 위의 질서를 지키는 형사
서울 가리봉동, 중국 조선족 중심의 골목에서 불법 환치기, 사채, 도박 등 실질적인 범죄 조직의 자율적 균형이 유지되던 시기. 지역 폭력조직 왕건이파와 흑사파는 공생 관계를 통해 큰 충돌 없이 나름의 질서를 유지해왔다. 그러던 중, 장첸(윤계상)이란 이름의 낯선 인물이 중국에서 넘어온다. 그는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고, 자신의 방식대로 판을 갈아엎는다. 잔혹하고 계산적인 장첸은 무자비한 살인과 협박을 통해 왕건이파와 흑사파를 흡수하고 가리봉 전체를 장악하려 한다. 한편, 강력반 형사 마석도(마동석)는 이 지역의 모든 사정을 꿰고 있는 ‘골목의 왕’ 같은 존재다. 그는 유머러스하면서도 위험할 정도로 즉흥적인 방식으로 범죄자들과 맞선다. 마석도는 조직 간의 미묘한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는 것을 직감하고, 장첸의 존재를 파악한 뒤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다. 하지만 장첸은 한국의 법과 제도를 비웃듯 당당하게 활동하며 수사의 손아귀를 피해 다닌다. 결국 마석도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장첸을 끝장내기로 결심하고, 가리봉의 밤은 폭력과 폭력의 정면 충돌로 번져간다.
특징
1) 실화 기반의 서사, 생생한 로컬리티
『범죄도시』는 2004년 실제 서울에서 벌어진 조선족 조직 간의 폭력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이 배경은 영화의 리얼리티를 높이며, ‘누군가에게는 익숙한 동네의 풍경’을 스크린 위에서 체감하게 만든다. 가리봉동의 골목, 시장 뒷편의 노포, 허름한 사무실과 찻집 등 로케이션은 철저히 ‘현실’을 고수하고,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폭력은 더 이상 영화 같지 않은 느낌을 준다. 2) 장르 클리셰를 반대로 활용한 액션
전통적인 액션 영화는 대결과 긴장을 쌓아가는 구조지만, 『범죄도시』는 처음부터 강하게, 그리고 짧고 굵게 싸운다. 마석도는 말을 아끼고 주먹을 아끼지 않으며, 장첸은 웃지 않고 칼을 먼저 꺼낸다. 그렇기에 영화는 기존 장르가 추구하던 ‘정의 VS 악’의 구도 대신 폭력 안에서도 선이 존재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그리고 관객은 마석도의 주먹에 정의감을 느끼는 이중적 경험을 하게 된다.
3) 배우들의 몸과 눈으로 완성된 캐릭터
마동석은 ‘마석도’라는 캐릭터를 통해 더 이상 배우가 아니라 하나의 장르가 되었다. 그의 주먹, 몸짓, 걸음걸이 모두가 이 캐릭터의 세계관을 형성한다. 반면 윤계상은 기존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조용한 공포와 잔인함을 지닌 빌런을 연기하며 한국형 악당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이 둘의 대립은 단순한 캐릭터 충돌이 아니라, 두 세계의 가치 충돌로 기능하며 영화 전체의 긴장감을 조율한다.
후기
『범죄도시』는 개봉 당시 예상 외의 흥행 돌풍을 일으켰다. 많은 이들이 ‘한국 액션 영화의 진짜 맛’을 오랜만에 느꼈다는 반응을 보였고, 그 중심에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이야기와 캐릭터가 있었다. 특히 장르 영화의 규칙을 따르면서도 현실 속 캐릭터를 데려온 듯한 리얼리티, 그리고 폭력의 쾌감이 아닌, 폭력을 통제하는 정의의 쾌감을 안겨주었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범죄 액션’ 이상의 메시지를 던진다. ‘정의는 반드시 승리한다’는 주제를 그 어떤 교훈적인 말 없이 마석도의 한 방으로 표현하는 것, 그것이 이 영화의 가장 큰 설득력이었다. 그리고 윤계상이 연기한 장첸은 한국 영화 속 빌런 캐릭터 중 가장 현실적인 공포를 안겨준 존재로 남았다. 그는 광기 속에 이성적이고, 침묵 속에 무자비하다. 그런 그를 꺾는 것이 단순한 주먹이었다는 사실은 폭력 너머의 상징적 구원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관객은 이 영화 안에서 불편함과 통쾌함을 동시에 경험한다. 그리고 그 양가감정은 이 영화를 오래도록 기억하게 만드는 정서다.
결론
「범죄도시」는 범죄 액션 장르가 갖춰야 할 요소를 정확히 계산하고, 단호하게 밀어붙인 영화다. 많은 한국 액션 영화들이 스타일과 서사 사이에서 균형을 잃는 반면, 이 작품은 단순한 이야기와 강한 캐릭터, 거침없는 액션과 명확한 감정선을 통해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정의’는 입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몸으로 보여줘야 할 수도 있다. 마석도는 그것을 증명했다. 그리고 그가 남긴 이 한 마디, “조용히 좀 하라니까”는 법과 질서가 무력해진 사회에서 유일하게 믿을 수 있는 한 남자의 선언처럼 울려 퍼진다. 『범죄도시』는 그래서 단순한 영화가 아니다. 우리 사회가 왜 여전히 ‘주먹 센 경찰’을 그리워하는가에 대한 한 편의 통렬한 리플렉션이다. 그 물음은 2편, 3편으로 이어지며 여전히 관객들의 마음을 흔들고 있다.